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9

대피성의 개념, 역사적 발전 과정, 산성축조 이번 글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한국의 방어 전략인 대피성의 개념, 역사적 발전 과정, 그리고 유사시 대비를 위한 산성 축조와 청야전술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아보겠다.대피성의 개념평시 방어에 유리한 산지에 성곽을 마련하여 둔 다음, 유사시에 사전에 마련한 인근 산성에 입보하여 농성하는 성곽을 대피성이라 한다. 대피성으로의 적지는 평시 거주하고 있는 인근의 주변 산지이다. 대피성의 활용은 삼국시대 초기 도성제에서부터 발전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평상시의 거주여하에 따라 상주하는 성과 구분하기 위한 개념의 성이라 할 수 있다. 즉 대피성은 도성이나 읍성과 같이 평상시 활용하는 성의 대응개념이라 할 수 있다. 지형적으로 산성에 해당되는 성곽은 평시에 생활하기에는 불편하여 대개 대피성이라 해도 과언이.. 2024. 11. 29.
조선시대 초기 읍성, 체계적인 축성, 읍성 특징 이 글에서는 조선시대 초기 읍성부터 이후 체계적으로 축성업무를 추진하는 과정을 살펴보겠다. 읍성은 군사적 방어뿐만 아니라 주민 생활을 중시하여 평시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읍성의 특징을 알아보고 목적, 위치, 공간구성도 함께 설명하도록 하겠다. 조선시대 초기 읍성조선시대의 초기 태종 대까지 산성에 입보하는 방안이 제시되어 시행되고 있었다. 이때 평지읍성이 지키기 어렵다는 이유를 들고 있기는 하지마는, 도성축조로 인하여 인적 물적 자원의 여유가 없어서 기존의 산성을 수축하여 활용하자는 인식이 깔려 있었던 것이라 하겠다. 그러나 태종 15년부터는 연해읍성 축조에도 관심을 가져 실제로 하삼도에서 읍성축조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는 왜구를 해안 지역에서 막아 피해를 줄이고 백성들을 보호하려는 적극적인 방어책에.. 2024. 11. 26.
통일신라, 고려 전기, 후기의 읍성 이번 글에서는 읍성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읍성은 한국의 지방 행정 단위인 읍을 방어하기 위해 세운 성곽으로, 외적의 침입에 대비하고 행정적 편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에 축조된 읍성은 지역 주민 보호와 산업 증진을 목표로 하였다.  통일신라 읍성 읍성이란 지방의 부, 군, 현 등의 행정관서가 마련된 고을에 유사시에 외적을 대비함과 동시에 행정적인 편의를 위해 마련한 성곽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읍이란 주민이 모여 사는 고을을 의미한다. 이는 행정위계에 따라 읍성을 부성, 군성, 현성 등으로 구분하여 부르기도 하나, 일반적으로는 구분하지 않고 읍성이라 부른다. 읍성이란 지방의 고을을 둘러싼 곳에 성곽을 마련하여 도성과는 구별되는 지방도시의 성곽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의 경우 읍성.. 2024. 11. 24.
고려와 조선의 궁성 고려와 조선의 궁성 구조와 특징을 소개하겠다. 고려 개성의 만월대와 황성의 구조, 그리고 조선의 법궁인 경복궁의 궁장 건축 양식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고려 개성의 송악산 남쪽 기슭에 있는 고려의 왕궁지인 만월대는 궁전이었던 회경전을 중심으로 하는 구역이다. 건물은 정남에 승평문, 좌우에 동락정이 있었고, 신풍문, 춘덕문, 춘궁, 태초문이 있었다. 장화전, 원덕전, 장령전, 연영전, 자화전 등의 궁전과 왕이 거처하던 건덕전으로 태조 2년에 궁궐을 창건한 이해 홍건적의 침입으로 소실될 때까지 고려왕의 거처였다. 왕궁 터의 가운데는 정사를 처리하는 정전인 회경전이 위치하였는데, 위곽으로 둘린 궁장에 대한 조사내용은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궁성을 둘러싸고 있는 것이 황성이다. 황성의 존재 사실은 의심하지 .. 2024. 11. 24.
백제와 신라의 궁성 이번 글에서는 백제와 신라의 고대 궁성에 대해 살펴보겠다. 백제 한성시대 풍납토성, 웅진시대 공산성, 사비시대 부소산성과 익산 왕궁리 유적의 구조와 특징을 설명하고, 신라의 월성에 대한 역사적 기록과 실측 데이터를 통해 궁성의 건축 양식과 규모를 소개하겠다. 백제 백제는 초기 한강변의 한성시대의 궁성은 정확히 알 수가 없다. 한산 아래 방책을 세우고 처음 도읍을 정하였다는 기록과 이후 근초고왕 26년에 다시 도읍을 한산성으로 옮겼는데 이 성은 지금 어느 곳인지 확실치 않다. 최근의 발굴성과로 보아, 풍납토성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나, 일부는 풍납토성을 포함하는 주변의 산성까지 포함하여 보는 견해도 있다. 풍납토성은 타원형의 토성으로 전체 둘레가 3.5km 내외이고, 성벽은 남북 1.2km 동서 0.6k.. 2024. 11. 23.
고구려의 궁성 이 글에서는 고대 한국의 각 왕조에서 나타나는 궁성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고, 그중 고구려의 궁성 발전 과정을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다. 궁성 개요 궁성 또는 왕성은 국가의 최고 권력자가 거주하는 공간을 성벽이나 궁장으로 두른 시설을 말한다. 대표적인 궁성으로 고구려의 국내성, 안학궁성 등이 있고, 백제는 궁성 또는 왕성이 정확히 규명된 바는 없으나 한성시대의 풍납토성, 웅진시대의 공산성과 사비시대의 부소산성 일대가 궁성 또는 왕성이었다고 보고 있다. 신라는 월성이 대표적인 궁성이었으며, 고려는 개성 내에 황성이 궁성을 감싸 안은 형태로 마련되어 있었는데, 궁성은 현재 만월대로 알려져 있다. 조선시대는 경복궁을 비롯하여 여러 궁궐이 궁성으로 활용되었다. 궁성 내에는 봉건사회에서 최고 권력자인 왕이 거처하.. 2024. 11.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