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9

과학적인 축성, 체성, 여장 남한산성의 성곽 구조를 살펴보면 그 축성 방식이 과학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남한산성의 축성 방식이 어떤 점에서 과학적인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더불어 전통적인 체성과 여장의 축성 기법과 비교하여 남한산성만의 특징적인 차이점을 분석해 보겠다. 과학적인 축성 남한산성은 산지지형을 이용한 편축성으로 축조함으로써, 성벽을 협축성으로 축조하는 것에 비해 축성에 소요되는 인력과 물자를 절반으로 줄이고, 축성기간도 획기적으로 줄이되 축성효과는 더욱 높은 축성방식을 택하였다. 편축성의 구조는 능선의 외사면을 이용하여 축조한 시설이어서 성내의 공간을 많이 확보하여 활용함으로써 병력의 신속한 배치와 이동, 그리고 병력의 은폐 등의 편의성은 협축성보다 오히려 우수하다. 또한 성벽 내부에 편축으.. 2024. 10. 12.
남한산성 보강, 시설완비, 관리 지난 포스트에서는 남한산성의 독창성과 규모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그 내용에 이어서 남한산성 보강, 시설완비와 관리를 어떻게 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남한산성 보강  우리나라 일반적인 성곽형식은 방어에 유리한 지형을 따라 성내에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단곽(單郭)으로 된 구조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단곽의 성곽은 장단점이 있는 바, 장점은 축성 시 공력과 기간을 줄이고, 넓은 성내면적을 갖게 하는 동시에 유사시 효과적인 병력배치가 가능하다. 반면, 단점은 성벽의 어느 한 곳이 뚫리게 되면 성 전체가 함락되는 약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약점을 보강하기 위해 남한산성은 병자호란이라는 전쟁경험을 통하여 전후에 전시에 느꼈던 취약점을 과감하게 보강하였다. 보완된 대표적인 시설로.. 2024. 10. 9.
남한산성의 독창성, 규모 남한산성은 다른 나라의 성들과는 다른 특징을 보인다. 이 글에서는 이 성곽의 독창성과 규모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남한산성의 독창성 남한산성의 성곽형식은 우리 민족이 오랜 기간 산지의 지형을 잘 이용하고, 전통의 전술인 청야입보의 전술개념을 잘 활용하는 성곽형식으로 다른 나라에서는 그 예를 잘 찾아볼 수 없는 전통의 축성형식이라 할 수 있다.  남한산성은 대규모의 천연요새지에 마련된 산성으로, 유럽, 일본의 성곽형식인 “CASTLE”개념의 성(城)과 중국의 만리장성과 같은 “WALL”개념의 장벽과는 구조와 형식과 많은 차이를 보이는 형식이고, 중국의 만리장성과 같이 장벽또는 장새개념과도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남한산성과 같은 형식의 산성은 우리만이 지니는 자연의 지세를 잘 활용한 난공불락의 성곽형식이다. .. 2024. 10. 8.
전통의 전술, 입지, 지형 우리나라의 전통의 전술은 어떤 것이었는지 살펴보고, 남한산성의 입지와 지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전통의 전술우리의 오랜 군사적 전통은 지형적으로 유리한 산성을 축조하여 활용하는 청야입보의 전술이었다. 청야입보란 유사시에 거주지를 깨끗이 비우고 준비된 인근 산성으로 들어가 농성하는 것으로 적이 아군의 식량이나 무기를 활용함을 막고, 퇴각 시에는 추격하여 섬멸하는 작전으로 언듯 보면 소극적인 전략전술로 보일 수 있으나, 저항의 바탕은 전국에 우수한 산성이 마련되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전통의 전술이었다. 이러한 청야전술의 우수성에 대한 예로, 고구려 신대왕 8년(172)에 한나라 대군이 침입해 왔을 때, 국상이 이르기를, 지금 한 병은 천리 길에 군량을 옮기므로, 오래 견디지 못할 것이니 만약 우리들이 .. 2024. 10. 7.
성곽 역사, 남한산성 기록, 현재의 축성 우리나라의 성곽역사는 이미 고조선에서 기록을 찾을 수 있을 정도로 오래되었다. 그중 남한산성 기록과 현재의 축성이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 것인지 이 글에서 살펴보겠다.성곽역사 우리나라 성곽역사는 첫 고대국가인 고조선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고조선은 한반도 서북쪽으로부터 요동지방에 이르는 넓은 지역을 차지하면서, 이미 기원전 4세기경 중국과 투쟁하면서 강대국으로 발전하였다. 사마천 사기에 의하면, 기원전 2세기(BC 109)에 한의 무제는 고조선 왕검성을 침범하여, 1년여에 걸친 성곽전투를 벌였던 기록이 보인다. 이를 통해 기원전 2세기에 이미 난공불락의 성곽을 마련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후 고구려, 백제, 신라등 삼국이 고대국가로 발전하였고, 통일신라를 거쳐 고려와 조선에 이르는 우리의 역사에.. 2024. 10.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