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9

보루성의 특징, 축조형식, 고구려 보루성 국경지대의 소규모 성곽시설의 하나인 보루성의 특징과 의미를 알아보겠다. 또한 그것의 축조형식을 통한 건축적 특징에 대해 설명하겠다. 마지막으로 고구려 보루성의 현황과 역사적 의미에 대해 살펴본다. 보루성의 특징 보루성은 일명 보자라고도 하는데, 적의 접근을 막고자 돌이나 흙으로 축조한 소규모 성곽시설의 하나이다. 보루성은 일반 산성과는 다르게 국경지역에 능선이나 강을 따라 축조된 소규모의 성곽시설을 이르는 것이었다. 문화유적의 명칭으로 보루성의 사용은 서울의 아차산과 용마산 일대와 경기도 연천의 임진강변을 따라 마련된 성곽에 처음으로 붙이게 되면서부터였다. 보루성은 일반적으로 말하는 산성이라 하기에는 규모가 작고 일정한 범위 내에서 인접하여 집중적으로 많이 마련된 방어시설을 말한다. 이러한 보루성이 마련.. 2024. 12. 17.
보의 정의와 역사, 설치 목적, 석창성지 조선시대 국방 체계의 핵심 방어 시설인 보(保)의 정의와 역사를 알아보겠다. 국경과 해안 지역의 작은 요새, 보의 설치 목적과 군사적 기능, 규모, 그리고 대표적인 석창성지의 건축 특성을 통해 당시 방어 시스템의 면모를 살펴본다.보의 정의와 역사보란 본래 흙이나 돌로 쌓은 작은 성을 뜻한다. 때로는 돌로 쌓은 것을 성이라 하고, 흙으로 쌓은 것을 보라 하여 구별하기도 했지만 조선시대의 보는 대부분 석성이었고, 토성이나 목책은 소수였다. 국경지역의 요충지에 설치한 작은 요새로 주민이 밀집하여 모여 사는 곳이 적의 접근이 용이한 국경이나 해안일대에 마련하였다. 이러한 보는 행정상 읍성이나 진성을 마련하는 여건이 되지 않아 규모가 작고 격이 낮아 보를 만들어 유사시에 대비하고자 축조하였다. 보에는 소수의 군사.. 2024. 12. 11.
진성, 진관체제, 수군 진 이번 글에서는 진성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중요한 군사지역에 설치했던 지방행정구역인 진은 신라시대부터 나타났고, 진에 쌓은 진성은 고려 초기부터 마련되었다. 진관체제를 통해 전국적인 방위체계가 마련되었으며, 특히 해안지대의 수군 진은 왜구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진도, 태안, 해남 등지의 진성들은 당시 군사적 방어체계의 중요한 증거이다. 진성 진이란 군사상 중요한 지역에 설치한 지방행정구역의 하나로 신라시대부터 진이 설치되었다. 신라시대에는 동해안 일대의 말갈을 막기 위한 북진, 서해안 방비를 위한 패강진이 설치되어 있었으며, 이외 해상 방면의 방어를 위한 진으로서 청해진, 당성진, 혈구진 등이 있었다. 고려시대에도 진의 설치는 계속되었는데, 태조 12년에 안정진에 성을 쌓고 또 영.. 2024. 12. 6.
조운제도, 조선시대의 창성, 구조적 특징 고려시대부터 시작된 조운제도의 발전과 조선시대 창성, 구조적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세곡 보관과 방어를 위한 창성의 구조와 기능, 아산 공세리 창성을 중심으로 한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조선시대 재정 및 방어 시스템을 살펴본다. 조운제도 나라의 중요물건을 보관하기 위한 곳에 쌓은 성을 말한다. 주로 세곡을 보관하는 곳에 마련하였다. 이러한 조운제도는 고려초부터 제도화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조운제는 조창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조창이란 각 지방에 세수를 수집, 보관하는 창고이며, 수취된 세곡을 선적, 출하 시까지 보관하는 역할을 하는 곳이다. 조창은 선박이 직접 입, 출항할 수 있는 곳으로 해안에 접해있는 해창과 수로 연변에 접해 있는 강창이 있다. 이러한 창고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외곽에 둘.. 2024. 12. 5.
신라의 관문성, 고려의 천리장성, 조선의 행성 지난 글에 이어서 장성의 역사에 대해 설명하겠다. 신라의 관문성, 고려의 천리장성, 조선의 행성을 통해 각 시대별 북방 방어 전략과 축성 목적, 규모, 특징을 자세히 살펴본다. 각 시대의 지리적 방어선과 군사적 대응 방식을 이해할 수 있다. 신라의 관문성 신라의 만리장성이라 불리는 장성으로 관문성이 있다. 관문성은 신라 성덕왕 21년에 왜구를 막고자 축조한 성이다. 이 성은 경주시와 울산광역시의 경계지역으로 외동읍 부근의 산지에 축조된 통일신라시대의 석축으로 된 행성과 산성으로 현재 성문지, 수문, 창고지 등이 남아 있다. 원래 이름은 모벌군성, 모벌관문이었는데, 조선시대에 관문성으로 부르게 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우박천이라는 냇물을 사이에 두고 동해를 향하여 쌓았으며 문무왕 13년에 쌓은 북형산성과.. 2024. 12. 4.
장성의 정의, 고구려, 백제 고대 한국 왕국들의 국경 방어를 위해 축조된 장성의 역사와 전략적 의미를 다루는 상세한 역사적 고찰로, 고구려와 백제의 장성 건설 과정과 목적을 살펴보겠다. 장성의 정의 장성은 국경지역에 길게 축조한 성곽으로 행성, 또는 관성, 대성으로 부르기도 한다. 국경지역의 지리적인 요충지역에 하나의 축선으로 외적을 방비하기 위해 마련한 성곽으로 그 형태가 길게 늘어선 성곽이어서 붙인 이름이다. 대표적인 예로 중국의 만리장성이나 고구려의 천리장성이나 고려의 천리장성 등이 있다. 이 외 조선 세종 때의 북쪽 국경지방에 마련한 여러 행성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하겠다. 장성이나 행성은 적의 접근이 쉬운 길목을 가로막을 목적으로 설치한 성곽으로 평지에는 성석을 쌓고 낮고 습한 지역은 참을 파거나 목책을 세우고, 높고 험한 .. 2024. 12. 1.
반응형